필리핀 자치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리핀 자치령은 1935년 미국 식민지 시대에 설립되어 1946년 필리핀 독립으로 종결된 자치 정부였다. 1935년 헌법을 제정하고, 마누엘 케손을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하여 자치 정부를 출범시켰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의 침략을 받아 망명 정부를 수립하였으며, 전쟁 이후 독립을 달성했다. 필리핀 자치령은 농지 개혁, 국어 정책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으며, 1939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약 1,600만 명의 인구를 보유했다. 정부는 대통령, 국민의회, 대법원으로 구성되었으며, 외교 및 군사 문제는 미국의 책임 하에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필리핀 관계 -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필리핀의 제10대 대통령으로 경제 발전과 사회 안정에 기여했으나, 계엄령 선포 후 권위주의 통치, 인권 유린, 부정 축재 등으로 논란이 많았으며 에드사 혁명으로 망명 후 사망, 영웅묘지 안장 또한 논쟁을 야기했다. - 미국-필리핀 관계 - 가쓰라-태프트 밀약
1905년 가쓰라 다로와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의 비밀 회담에서 일본의 필리핀 비침략, 미·일·영 협력, 일본의 대한제국 보호권 행사에 대한 미국의 묵인이 논의되었으며, 이는 한국의 식민 지배에 대한 미국의 책임 논쟁과 한국 주권 침해에 영향을 미쳤다. - 필리핀의 역사 - 후크발라합
후크발라합은 1942년 루손섬에서 결성된 농민 기반 반일 게릴라 조직으로, 일본군 축출과 지주 계급 타도를 목표로 활동했으나, 전후 미국의 반공 정책으로 탄압받으며 필리핀 사회의 불평등과 토지 문제를 드러낸 반란을 일으켰다. - 필리핀의 역사 - 한진중공업 사태
한진중공업 사태는 2010년 12월, 400명 규모의 정리해고 발표로 시작되어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고, 노동자 권익 보호와 관련된 전국적인 논의를 촉발한 사건이다. - 전간기의 정체 - 아프가니스탄 토후국
아프가니스탄 토후국은 1826년 도스트 무함마드 칸이 건립하여 1926년 아마눌라 칸이 아프가니스탄 왕국을 선포할 때까지 존속한 국가로, 영국의 침략과 내분 속에서도 중앙집권화와 근대화를 추구하며 1919년 영국으로부터 완전한 독립을 쟁취했다. - 전간기의 정체 - 바이마르 공화국
바이마르 공화국은 제1차 세계 대전 후 독일 제국이 붕괴된 후 수립된 정치 체제로, 바이마르 헌법에 따라 '독일국'이라는 국호를 사용했으나, 베르사유 조약, 정치적 양극화, 나치즘의 부상으로 아돌프 히틀러 집권과 함께 몰락한 격변의 시대였다.
필리핀 자치령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정식 명칭 | 필리핀 자치령 |
로마자 표기 | Mancomunidad de Filipinas (에스파냐어), Komonwelt ng Pilipinas (타갈로그어) |
일반 명칭 | 필리핀 자치령 |
존속 기간 | 1935년–1942년, 1942년–1945년: 망명 정부, 1945년–1946년 |
![]() | |
![]() | |
![]() | |
국가 표어 | (미국 표어는 없음) |
지위 | 미국의 자치령 (1935–1946년), 망명 정부 (1942–1945년) |
이전 국가 | 필리핀 제도 군정 1935년 필리핀 제2공화국 1945년 |
이전 국가 국기 | image_file: Flag of the Philippines (1919-1936).svg image_file: Flag of the Philippines (1943-1945).svg |
계승 국가 | 필리핀 행정 위원회 1942년 필리핀 제3공화국 1946년 |
계승 국가 국기 | image_file: Flag of Japan (1870-1999).svg image_file: Flag of the Philippines (1936–1985, 1986–1998).svg |
국가 | 필리핀 찬가 |
수도 | 마닐라 |
정치 | |
공식 언어 | 영어 스페인어 |
국가 언어 | 타갈로그어 |
종교 | 비공식, 다수: 기독교 (가톨릭, 개신교), 소수: 이슬람교 (수니파), 필리핀 토착 신앙 |
정치 체제 | 미국 속령 |
최고 대표 | 고등판무관 |
역대 최고 대표 | 프랭크 머피 (1935–1937) 폴 V. 맥넛 (1937–1939) 프랜시스 보우스 세이어 시니어 (1939–1942) 해럴드 L. 아이크스 (1942–1945, 망명 중) 폴 V. 맥넛 (1945–1946) |
대통령 | 대통령 |
역대 대통령 | 마누엘 L. 케손 (1935–1944) 세르히오 오스메냐 (1944–1946) 마누엘 로하스 (1946) |
부통령 | 부통령 |
역대 부통령 | 세르히오 오스메냐 (1935–1944) 엘피디오 키리노 (1946) |
의회 | 국민의회 (1935–1941), 의회 (1945–1946) |
상원 | 상원 (1945–1946) |
하원 | 하원 (1945–1946) |
역사 | |
시대 | 전간기, 제2차 세계 대전 |
시작 사건 | 타이딩스-맥더피 법 |
시작일 | 1935년 11월 15일 |
주요 사건 1 | 망명 정부 |
사건 1 날짜 | 1942년 3월 12일 |
주요 사건 2 | 복원 |
사건 2 날짜 | 1945년 2월 27일 |
종료 사건 | 독립 |
종료일 | 1946년 7월 4일 |
종료 후 사건 | 마닐라 조약 |
종료 후 날짜 | 1946년 10월 22일 |
경제 | |
통화 | 필리핀 페소 (₱), 미국 달러 ($) |
기타 정보 | |
시간대 | PST |
UTC 오프셋 | +08:00 |
현재 국가 | 필리핀 |
운전 방향 | 좌측 (1945년 이전), 우측 (1945년 이후) |
2. 명칭
필리핀 코먼웰스의 정식 명칭은 '''필리핀 코먼웰스'''(Commonwealth of the Philippines)이며[72][73], 간단히 '''코먼웰스'''라고도 불렸다. 타갈로그어 공식 명칭은 Kómonwélt ng Pilipinas|코먼웰트 응 필리피나스tl이며, 스페인어로는 Mancomunidad de Filipinas|만코무니다드 데 필리피나스es이다. 1935년 헌법에서는 '''필리핀'''을 국가 명칭의 약칭으로 사용했고, '''필리핀 제도'''(the Philippine Islands)는 1935년 이전의 국가 상태나 정치 체제를 가리키는 데만 사용되었다.[62] 도서 정부 통치 하(1901년~1935년)에는 두 명칭 모두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74][75]
미국 식민지 시대였던 1935년, 필리핀은 미국으로부터 독립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 자치령(코먼웰스)을 수립했다. 이는 대공황으로 인해 필리핀의 독립을 지지하는 미국의 여론과, 필리핀의 완전한 독립을 위한 준비 과정의 필요성이 맞물린 결과였다.
3. 역사
1932년 미국 의회는 헤어-호위스-커팅 법안을 통과시켰지만, 마누엘 케손의 반대로 필리핀 상원에서 부결되었다. 이후 타이딩스-맥더피 법안이 제정되어 10년간의 유예 기간을 거쳐 필리핀의 완전한 독립을 보장하는 자치령 수립이 가능해졌다.[19]
자치령은 1935년 마누엘 케손을 대통령으로 선출하고,[19] 국가 방위, 경제 통제 강화, 교육 개혁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며 독립 국가로서의 기틀을 다졌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발발과 함께 일본 제국의 침략을 받아 필리핀은 일본에 점령되었고, 자치령 정부는 워싱턴 D.C.로 망명해야 했다.[27]
일본은 제2 필리핀 공화국을 수립했지만, 필리핀 국민들의 저항에 직면했다. 후크발라합을 비롯한 다양한 저항 세력이 게릴라전을 통해 일본군에 맞섰고,[28][29] 더글러스 맥아더가 이끄는 미군과 필리핀 연방군은 필리핀 탈환 작전을 전개하여 1945년 일본의 항복과 함께 필리핀을 해방시켰다.
전쟁 후, 자치령 정부는 복원되었고, 1946년 7월 4일 마닐라 조약을 통해 필리핀은 마침내 완전한 독립을 이루었다.[30][31] 그러나 벨 무역법에서 볼 수 있듯이, 필리핀 경제는 여전히 미국에 의존적인 상태를 벗어나지 못했다.[32]
3. 1. 설립 배경
1930년대 미국은 대공황의 여파로 필리핀의 독립을 지지하는 여론이 높아졌다. 1932년 12월, 미국 의회는 필리핀에 독립을 부여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헤어-호위스-커팅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 법안에는 미국을 위한 여러 군사 및 해군 기지를 확보하고, 필리핀 수출품에 관세와 할당량을 부과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19][20] 허버트 후버 대통령은 이 법안에 거부권을 행사했지만, 미국 의회는 1933년 후버 대통령의 거부권을 무효로 하고 법안을 통과시켰다.[21] 그러나 당시 필리핀 상원 의장 마누엘 케손은 이 법안에 반대했고, 필리핀 상원에서도 부결되었다.
이로 인해 타이딩스-맥더피 법안[22] 또는 필리핀 독립법이 제정되어, 10년간의 평화로운 과도기를 거쳐 완전한 독립을 달성하는 필리핀 코먼웰스(자치령)를 수립할 수 있게 되었다. 독립일은 코먼웰스 수립 10주년 후 7월 4일로 정해졌다.[19][23][24]
3. 2. 설립과 발전 (1935년 ~ 1941년)
1934년 마닐라에서 헌법 제정 회의가 소집되었다. 1935년 2월 8일, 필리핀 코먼웰스 헌법이 177대 1의 압도적인 찬성으로 제정 회의에서 승인되었다. 이 헌법은 1935년 3월 25일 프랭클린 D. 루즈벨트 대통령에 의해 승인되었고, 1935년 5월 14일 국민투표를 통해 비준되었다.[25]
1935년 9월 16일,[10] 대통령 선거가 실시되었다. 에밀리오 아기날도, 필리핀 독립 교회 지도자 그레고리오 아글리파이 등이 후보로 출마했으나, 국민당의 마누엘 케손과 세르히오 오스메냐가 각각 대통령과 부통령에 당선되었다.[19]
코먼웰스 정부는 1935년 11월 15일 아침, 마닐라의 입법 의사당 계단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출범했다. 이 행사에는 약 30만 명의 인파가 참석했다.[10]
새 정부는 경제적·정치적 독립을 준비하기 위해 야심찬 국가 건설 정책을 추진했다.[19] 주요 정책은 다음과 같다.
그러나 동남아시아의 외교 및 군사 상황, 미래 필리핀 공화국(필리핀 공화국)에 대한 미국의 지원 수준, 대공황으로 인한 경제 문제 등의 불확실성이 주요 문제로 부각되었다. 오스메냐와 케손[19] 간의 권력 투쟁과 농민 불안도 상황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었다.
3. 3.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1941년 ~ 1945년)
일본은 1941년 12월 8일 필리핀을 기습 공격했다.[27] 필리핀 연방 정부는 필리핀 육군을 미국 원정군 극동군에 편입하여 일본 점령에 저항했다. 마닐라는 파괴를 막기 위해 개항 도시로 선포되었고, 1942년 1월 2일 일본군에 점령당했다. 한편, 바탄 반도, 코레히도르, 레이테에서 일본군과의 전투가 계속되어 1942년 5월 미국-필리핀 연합군은 최종적으로 항복했다.
마누엘 L. 케손 대통령과 세르히오 오스메냐 부통령은 마닐라에서 군대의 호위를 받으며 코레히도르로 이동한 후, 미국으로 가기 전에 호주로 떠났다. 그들은 워싱턴 D.C.의 쇼어햄 호텔에 망명 정부를 수립했다.[27] 이 정부는 태평양 전쟁 협의회와 연합국 선언에도 참여했다. 케손은 결핵으로 사망했고, 오스메냐가 그 뒤를 이어 대통령이 되었다.[27]
한편, 일본군은 제2 필리핀 공화국을 조직했고, 호세 P. 라우렐을 대통령으로 임명했다. 그러나 이 친일 정부는 필리핀 국민들에게 매우 인기가 없었다.
일본 점령에 대한 저항은 필리핀에서 계속되었다. 여기에는 3만 명의 무장 병력으로 구성되어 중부 루손의 상당 부분을 장악한 ''후크발라합''(반일 인민군)이 포함되었다. 후크발라합은 일본군과 다른 비후크 게릴라 모두를 공격했다.[28] 필리핀군의 잔여 세력과 항복하지 않은 미국인들도 게릴라전을 통해 일본군과 성공적으로 싸웠다.[29] 이러한 노력은 결국 48개의 주 중 12개를 제외한 모든 주를 해방시켰다.
장군 더글러스 맥아더의 군대는 1944년 10월 20일 레이테 섬에 상륙했고,[19] 다른 상륙 작전에 도착한 필리핀 연방군도 마찬가지였다. 필리핀 경찰은 필리핀 연방군과 함께 현역으로 배치되었고, 연합군 해방과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시대인 1944년 10월 28일부터 1946년 6월 30일까지 재건되었다. 1945년 8월 일본의 항복(9월 2일 도쿄 만에서 조인)까지 필리핀의 외딴 지역에서 전투가 계속되었다. 필리핀인 전사자는 100만 명에 달했으며, 일본 해병대가 일본 고위 사령부의 명령에도 불구하고 도시를 비우기를 거부하면서 마닐라는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필리핀 전쟁 후, 연방 정부가 복원되었고 독립을 위한 1년간의 과도기가 시작되었다.
3. 4. 독립 (1946년)
1946년 7월 4일, 예정대로 미국이 필리핀의 독립을 승인하면서 코먼웰스 시대는 끝났다.[30][31] 그러나 필리핀 경제는 미국에 여전히 의존적인 상태였다. 이는 필리핀 무역법으로도 알려진 벨 무역법 때문이었는데, 이 법은 미국으로부터 전쟁 복구 지원금을 받기 위한 전제 조건이었다.[32]
4. 정책
필리핀 자치령 시대에는 소작농들이 소작제와 인구 급증으로 인한 경제적 압박과 빚 때문에 불만을 품고 있었다.[33] 코먼웰스 정부는 이러한 불만을 해소하기 위해 토지개혁을 추진했으나, 소작농과 지주 간의 지속적인 갈등으로 인해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87]
1935년 헌법에는 필리핀 고유 언어를 기반으로 한 국어 개발 조항이 있었다.[4][5] 1936년, 국회는 수리안 응 위캉 팜반사(국립어학원)를 설립하는 연방법 제184호를 제정했다. 1937년, 국립어학원은 타갈로그어를 국어의 기초로 선정했다.[34] 1940년, 타갈로그어 사전과 문법책이 발간되었고, 같은 해 연방법 제570호에 따라 필리핀어는 독립 후에도 국어로 사용되도록 규정되었다.
4. 1. 농지 개혁
필리핀 코먼웰스 시대에는 소작농들이 소작제와 인구 급증으로 인한 경제적 압박과 빚 때문에 불만을 품고 있었다.[33] 코먼웰스 정부는 이러한 불만을 해소하기 위해 토지개혁을 추진했다. 그러나 토지 개혁은 소작농과 지주 간의 지속적인 갈등으로 인해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87]이러한 갈등의 예로 베니그노 라모스가 시작한 사크달리스타 운동이 있다. 이 운동은 감세, 토지 개혁, 아시엔다 분할, 미국과의 관계 단절을 주장했다. 1935년 5월 중부 루손 지방에서 발생한 이 봉기는 약 100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4. 2. 국어 정책
1935년 헌법에는 필리핀 고유 언어를 기반으로 한 국어 개발 조항이 있었다.[4][5] 1936년, 국회는 수리안 응 위캉 팜반사(국립어학원)를 설립하는 연방법 제184호를 제정했다. 1937년, 국립어학원은 타갈로그어를 국어의 기초로 선정했다.[34] 1940년, 타갈로그어 사전과 문법책이 발간되었고, 같은 해 연방법 제570호에 따라 필리핀어는 독립 후에도 국어로 사용되도록 규정되었다.5. 경제
필리핀 자치령의 화폐 경제는 대부분 농업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주요 생산품으로는 아바카, 코코넛과 코코넛 오일, 사탕수수, 목재 등이 있었다.[35] 필리핀 사람들은 다양한 작물과 가축을 재배하여 지역 소비를 충당했다. 해외 수입의 다른 원천으로는 루손섬에 있는 수빅만 해군기지와 클라크 공군기지와 같이 필리핀에 있는 미군 기지에서 지출된 돈으로 인한 파생 효과가 있었다.
1930년대 세계 대공황은 필리핀의 독립과 자치령 수립에 큰 영향을 미쳤다. 미국의 식민지였던 필리핀은 미국 본토에 대해 경제적으로 자유롭게 접근했고, 자유무역 체제 하에서 많은 농산물, 특히 설탕은 관세 없이 미국으로 수출할 수 있었다. 그러나 대공황으로 어려움을 겪던 미국의 농가 등 이해관계자들은 농업 보호와 자국 제품 방어를 위한 캠페인을 시작했고, 이는 필리핀 독립을 후원하는 법 제정으로 이어졌다.
자치령 수립 직후에는 농민 반란이 있었지만, 활발한 코코넛 산업에서 거둔 세수로 인프라 투자와 개발이 진행되어 경제 상황은 좋았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로 경제 성장은 멈추었다.[88]
6. 인구
1939년 필리핀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구는 16,000,303명이었다. 이 가운데 대부분은 갈색 피부를 가진 사람들이었고, 그 외에 황색 인종, 혼혈, 흑인, 백인 등으로 분류되었다.[36] 1941년 추계 인구는 약 1,700만 명이었으며, 이 중에는 중국계 필리핀인 11만 7,000명, 일본계 필리핀인 3만 명, 미국계 필리핀인 9,000명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37]
1939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인구의 26.3%가 영어를 사용할 수 있었다.[38] 1920년대부터 영어가 스페인어를 능가하게 되었고, 이후 스페인어는 엘리트 계층과 정부에서 주로 사용되었으나 일본 점령 기간 동안 금지되었다.[39]
주요 언어 사용자 수는 다음과 같았다.
언어 | 사용자 수 |
---|---|
세부아노어 | 4,620,685명 |
타갈로그어 | 3,068,565명 |
일로카노어 | 2,353,518명 |
힐리가이논어 | 1,951,005명 |
와라이어 | 920,009명 |
팜팡가어 | 621,455명 |
팡가시난어 | 573,752명 |
7. 정치
필리핀 자치령은 자체 헌법을 가지고 자치 정부로 기능했다. 1935년부터 1941년까지 필리핀 자치령은 강력한 행정부, 단원제 국민의회, 대법원을 갖추고 있었으며, 이 모든 기관은 전적으로 필리핀인으로 구성되었다.[13][42] 또한, 미국 하원에 거주 위원을 선출했다. 1939년과 1940년에 자치령 헌법 개정 이후, 상원과 하원으로 구성된 양원제 의회가 국민의회를 대체하여 설립되었다.[43]
마누엘 케손은 1935년 최초의 대통령 선거에서 에밀리오 아기날도와 그레고리오 아글리페이를 제치고 대통령에 취임했다.[44][45] 그는 유대인 난민의 필리핀 입국을 돕고, 민다나오섬 정착을 지원했다.[50] 1940년 헌법 개정으로 재선이 가능해졌으며, 1941년 대통령 선거에서 재선되었다.[48][49] 결핵으로 1944년 8월 1일 사라낙 호수에서 사망했으며,[51] 그의 유해는 케손 기념공원에 안치되었다.[53]
세르히오 오스메냐는 1944년 케손의 사망으로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그는 더글러스 맥아더와 함께 필리핀으로 돌아와 자치령 정부를 재건했으며, 1946년 총선에서 마누엘 로하스에게 패배했다.
7. 1. 정부 구조
필리핀 코먼웰스는 자체 헌법을 가지고 자치 정부로 기능했다.[13] 1935년부터 1941년까지 필리핀 코먼웰스는 강력한 행정부, 단원제 국민의회, 대법원[42]을 갖추고 있었으며, 이 모든 기관은 전적으로 필리핀인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미국 하원에 거주 위원을 선출했다.1939년과 1940년에 코먼웰스 헌법 개정 이후, 상원[43]과 하원[43]으로 구성된 양원제 의회[43]가 국민의회를 대체하여 설립되었다.
7. 2. 대통령 목록
# | 대통령 | 취임 | 퇴임 | 정당 | 부통령 | 임기 | |
---|---|---|---|---|---|---|---|
1 | rowspan="2" style="background:#98fb98"| | 마누엘 케손 | 1935년 11월 15일 | 1944년 8월 1일[51] | 나시오날리스타당 | 세르히오 오스메냐 | 1 |
2 | |||||||
2 | style="background:#98fb98" | | 세르히오 오스메냐 | 1944년 8월 1일 | 1946년 5월 28일 | 나시오날리스타당 | 결원 | |
3 | style="background:#f0e68c" | | 마누엘 로하스 | 1946년 5월 28일 | 1946년 7월 4일 | 자유당 | 엘피디오 키리노 | 3 |
마누엘 케손은 1935년 나시오날리스트당 후보로 최초의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여 약 68%의 득표율을 기록했다.[44] 그는 에밀리오 아기날도와 그레고리오 아글리페이를 제치고 1935년 11월 15일에 대통령에 취임했다.[45]
케손은 원래 재선이 금지되었으나, 1940년 헌법 개정으로 재선이 가능해졌다.[48] 1941년 대통령 선거에서 후안 수물롱을 누르고 약 82%의 득표율로 재선되었다.[49] 그는 유대인 난민의 필리핀 입국을 돕고, 민다나오섬 정착을 지원했다.[50] 결핵으로 1944년 8월 1일 사라낙 호수에서 사망했으며,[51] 그의 유해는 케손 기념공원에 안치되었다.[53]
세르히오 오스메냐는 1944년 케손의 사망으로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그는 더글러스 맥아더와 함께 필리핀으로 돌아와 코먼웰스 정부를 재건했으며, 1946년 총선에서 마누엘 로하스에게 패배했다.
8. 한국과의 관계
필리핀 자치령 시기는 한국의 일제강점기와 겹치는 시기이다. 두 나라 모두 일본 제국의 침략과 지배를 경험했으며, 이에 맞서 독립을 위한 투쟁을 전개했다. 필리핀의 독립 투쟁은 한국의 독립운동가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두 나라의 독립운동은 서로 연대하고 지지하는 관계였다. 특히, 일본에 의해 강제 징용된 한국인들이 필리핀에서 일본군에 맞서 싸운 사례는 두 나라의 역사적 연대감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참조
[1]
뉴스
Celebrating our freedom
https://www.philstar[...]
2022-01-03
[2]
뉴스
Music for the National Soul
https://nhcp.gov.ph/[...]
2022-01-03
[3]
웹사이트
Commonwealth Act No. 382
https://www.official[...]
2022-01-03
[4]
간행물
1935 Constitution, Article XIII, section 3
[5]
서적
Language Policy and Modernity in Southeast Asia: Malaysia, the Philippines, Singapore, and Thailand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7-04-15
[6]
간행물
[7]
웹사이트
Official Ballot
https://lh3.googleus[...]
Presidential Museum and Library
2017-07-12
[8]
웹사이트
Manuel Quezon historical marker
https://commons.wiki[...]
National Historical Commission of the Philippines
2021-08-16
[9]
저널
Balangkas at Layunin ng Pamahalaang Komonwelt
https://web.archive.[...]
Department of Education
2014-09-26
[10]
간행물
Timeline 1930–1939
http://www.ssc.edu.p[...]
St. Scholastica's College
2009-07-10
[11]
간행물
The American Presidency Project, the Commonwealth Road, consecrated on October 23, 1937
University of California
2009-07-13
[12]
서적
Musical Renderings of the Philippine Na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7-03
[13]
웹사이트
The 1935 Constitution
https://www.official[...]
Government of the Philippines
2020-05-22
[14]
간행물
A Decade of American Foreign Policy 1941–1949 Interim Meeting of Foreign Ministers
http://avalon.law.ya[...]
Yale
2009-09-30
[15]
뉴스
The Philippine Commonwealth
http://select.nytime[...]
2009-10-01
[16]
간행물
[17]
간행물
Philippine Autonomy Act (Jones Law)
http://www.thecorpus[...]
The corpus juris
[18]
간행물
[19]
백과사전
Philippines, The period of U.S. influence
https://www.britanni[...]
2007-02-10
[20]
백과사전
Hare-Hawes-Cutting-Act
https://www.britanni[...]
2007-02-10
[21]
서적
[22]
웹사이트
http://www.chanroble[...]
[23]
백과사전
Tydings-McDuffie Act
https://www.britanni[...]
2007-02-10
[24]
웹사이트
Text of the Tydings-McDuffie Act
http://www.chanroble[...]
The ChanRobles Group
2007-02-10
[25]
간행물
Constitution of the Commonwealth of the Philippines
http://www.thecorpus[...]
The corpus juris
[26]
웹사이트
The Battle of Malaya {{!}} The Japanese Invasion of Malaya as a Case S
https://corescholar.[...]
2024-03-05
[27]
서적
Recognition of Governments in International Law: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Governments in Exile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28]
간행물
Men of Destiny: The American and Filipino Guerilla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the Philippines
http://apps.dtic.mil[...]
School of Advanced Military Studies, United States Army Command and General Staff College
2014-09-02
[29]
서적
Reports of General MacArthur: The campaign of MacArthur in the Pacific Volume I
https://history.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3-06
[30]
웹사이트
Philippine History
https://web.archive.[...]
DLSU-Manila
2007-02-11
[31]
서적
[32]
웹사이트
Balitang Beterano: Facts about Philippine Independence
http://www.newsflash[...]
Philippine Headline News Online
2007-02-11
[33]
웹사이트
Philippine history American Colony and Philippine Commonwealth (1901–1941)
http://www.asia.msu.[...]
MSU
2007-02-11
[34]
법률
PROCLAMING THE NATIONAL LANGUAGE OF THE PHILIPPINES BASED ON THE "TAGALOG" LANGUAGE
https://web.archive.[...]
Official Gazette of the Philippine Government
2022-08-30
[35]
웹사이트
American Colony and Philippine Commonwealth (1901–1941)
http://www.filipinas[...]
Filipinas Heritage Library
2007-02-12
[36]
웹사이트
Statistical Abstract of the United States
http://www2.census.g[...]
United States Department of Commerce
1941-09-08
[37]
서적
Immigration and Migration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09-09-08
[38]
서적
Filipino English and Taglish: Language Switching from Multiple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2003-09-07
[39]
서적
Filipino English and Taglish: Language Switching from Multiple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2003-09-07
[40]
웹사이트
Constitutions of the Philippines
http://www.chanroble[...]
The ChanRobles Group
2007-02-10
[41]
서적
State Succession and Membership i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Legal Theories Versus Political Pragmatism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42]
웹사이트
The Yamashita Standard
https://www.pbs.org/[...]
PBS
2007-02-12
[43]
뉴스
A History of Plebiscites in the Philippines
http://arabnews.com/[...]
2007-02-12
[44]
웹사이트
Did you know: 1st national elections in PH held on Sept. 16, 1935
https://newsinfo.inq[...]
2016-05-09
[45]
웹사이트
Inaugural Address of President Manuel L. Quezon, November 15, 1935
https://www.official[...]
2019-03-27
[46]
웹사이트
Manuel L. Quezon
http://malacanang.go[...]
2019-03-27
[47]
웹사이트
My Lolo Miguel, the hero
https://www.pressrea[...]
2015-09-18
[48]
웹사이트
OPINION: The vice-presidency: a briefer
https://news.abs-cbn[...]
2019-03-27
[49]
웹사이트
MLQ's colorful language
https://news.mb.com.[...]
2019-03-27
[50]
웹사이트
Manuel L. Quezon, President of the Philippines, Rescuer Of Jews
https://www.jewishpr[...]
2018-11-14
[51]
웹사이트
Quezon and TB
https://opinion.inqu[...]
2018-08-17
[52]
웹사이트
Valor of Many Stripes: Remarkable Americans in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9-01-14
[53]
웹사이트
Museo ni Manuel Quezon
http://nhcp.gov.ph/m[...]
2019-03-27
[54]
웹사이트
Sergio Osmeña
https://www.britanni[...]
2019-03-27
[55]
뉴스
40 Years Later, Memories of Macarthur's Return
https://www.nytimes.[...]
1984-10-20
[56]
웹사이트
Boasting of ancestors
https://www.pressrea[...]
2012-09-02
[57]
웹사이트
Manuel Roxas
https://www.britanni[...]
2019-03-27
[58]
웹사이트
Manuel Roxas
http://malacanang.go[...]
2019-03-27
[59]
웹사이트
President Roxas on First State of the Nation Address, June 3, 1946
https://www.official[...]
2019-03-27
[60]
간행물
Official Gazette
1946-07
[61]
웹사이트
Message of President Roxas to the Second Congress on urging ratification of Executive Agreement with the USA, June 21, 1946
https://www.official[...]
Official Gazette of the Government of the Philippines
1946-06-21
[62]
기타
[63]
웹사이트
Clnstitutional law
https://books.google[...]
Philippine Constitution Association
1965
[64]
위키
코먼웰스법 No.382
https://wikisource.o[...]
[65]
서적
The politics of English as a world language: new horizons in postcolonial cultural studies
https://books.google[...]
Rodopi (publisher)
2011-02-17
[66]
서적
Language policy and modernity in Southeast Asia: Malaysia, the Philippines, Singapore, and Thailand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1-02-17
[67]
서적
The Fall of the Philippines
http://www.history.a[...]
미국군
2011-02-17
[68]
웹사이트
Timeline 1930–1939
http://www.ssc.edu.p[...]
St. Scholastica's College Manila
[69]
기타
Proclamation 2148 on the Establishment of the Commonwealth of the Philippines
http://www.presidenc[...]
캘리포니아대학교
1935-11-14
[70]
서적
Musical Renderings of the Philippine Na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04-07
[71]
웹사이트
The 1935 Constitution
http://www.gov.ph/co[...]
필리핀 정부
1935-02-08
[72]
웹사이트
A Decade of American Foreign Policy 1941–1949 Interim Meeting of Foreign Ministers
http://avalon.law.ya[...]
예일대학교
2009-09-30
[73]
뉴스
The Philippine Commonwealth
http://select.nytime[...]
1935-11-16
[74]
일반
[75]
웹사이트
Philippine Autonomy Act (Jones Law)(필리핀 자치법(조이스법))
http://www.thecorpus[...]
The corpus juris
[76]
웹사이트
Philippines, The period of U.S. influence
http://www.britannic[...]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77]
웹사이트
Hare-Hawes-Cutting-Act
http://www.britannic[...]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78]
서적
(제목 미상)
1970
[79]
서적
Commonwealth Politics, 1935-41
1991
[80]
일반
[81]
웹사이트
Tydings-McDuffie Act
http://www.britannic[...]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브리태니커 온라인
[82]
웹사이트
Text of the Tydings-McDuffie Act
http://www.chanroble[...]
The ChanRobles Group
[83]
웹사이트
필리핀 헌법, 코먼웰스 헌법
http://www.thecorpus[...]
The corpus juris
1935
[84]
웹사이트
Philippine History
http://pinas.dlsu.ed[...]
데 라 살레 대학교
[85]
서적
(제목 미상)
1998
[86]
웹사이트
Balitang Beterano: Facts about Philippine Independence
http://www.newsflash[...]
필리핀 헤드라인 뉴스 온라인
2004-02
[87]
웹사이트
Philippine history American Colony and Philippine Commonwealth (1901–1941)
http://www.asia.msu.[...]
MSU
[88]
웹사이트
American Colony and Philippine Commonwealth (1901–1941)
http://www.filipinas[...]
Filipinas Heritage Library
[89]
웹사이트
Statistical Abstract of the United States
http://www2.census.g[...]
미국 상무부
1941
[90]
서적
Immigration and Migration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09
[91]
서적
Filipino English and Taglish: Language Switching from Multiple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03
[92]
서적
Filipino English and Taglish: Language Switching from Multiple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03
[93]
웹사이트
Constitutions of the Philippines
http://www.chanroble[...]
The ChanRobles Group
[94]
웹사이트
The Yamashita Standard
http://www.pbs.org/w[...]
PBS
[95]
웹사이트
A History of Plebiscites in the Philippines
http://arabnews.com/[...]
Arab News
[96]
뉴스
Lawmaker: History wrong on Gen. Malvar
http://archives.mani[...]
2008-01-02
[97]
웹사이트
오피셜 가제트
1946-05
[98]
웹사이트
오피셜 가제트
1946-07
[99]
서적
Musical Renderings of the Philippine Nation
http://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04-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